[2013년 03월 07일] 자전거 타고 통 크게 동네 돌아보기 - 1편

by 컴토피아 posted Mar 10,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30307_104354.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1편: [2013년 03월 07일] 자전거 타고 통 크게 동네 돌아보기 - 1편 (현재 글)
2편: [2013년 03월 07일] 자전거 타고 통 크게 동네 돌아보기 - 2편

1편.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부터 양재천까지

첫 시작은 으래 경의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과 함께! 뭐 사실 정확히 말하자면 일산역이나 우리집으로 부터 시작하는게 맞지만 일산역으로 시작하는 장면은 앞에서 많이 써먹어서 당분간 디지털미디어시티역과 함께 시작하는 글들을 보여주는 독자 분들을 위한 세심한 배려(?)랄까... :D

그렇게 디지털미디어시티역으로 부터 출발한다. 내가 경의선을 좋아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 몇 가지를 꼽자면 일산 진입 전과 파주에서 나타나는 죽여주는 시골같은 경치들, 그리고 역 간격과 선형 그리고 군더더기 없이 잘 빠진 열차까지 세 박자를 갖춘 멋쟁이 경의선인데다가, 평일에도 출퇴근 시간대만 조심한다면 그 이외에는 자전거 휴대승차가 자유롭고 모든 계단에 자전거 경사로를 설치해 둔 세심한 배려에 반해 좋아하고 애용하고 있다.

수도권을 관통하는 다른 노선은 토요일도 자전거 휴대승차를 금지해 두는 등 여러모로 제약이 많은데 확실히 대표적 국민의 공기업 코레일인데다가 교외선을 알뜰하게 돌아가는(?) 노선인지라 빈 자리도 제법 있는 편이고 이렇게 자전거에 대해서도 관대한 편이다. 그렇기에 한 편으로 경의선 용산선이 완전 개통되어 중앙선과 직결되어 남한강까지도 자전거를 싣고 가 남한강 자전거도로에 한 번 산책 나가보는걸 기대하며 기약하고 있다.

이 노선이 사실 공덕 연장개통 될 당시에 공덕 연장개통이 아닌 용산 연장개통으로 진행되었어야 하는데 효창정거장 부지문제덕분에 공사는 진행되지도 못한 채 2013년 말을 기약하던 게 언제 개통될 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무기한 연장되어 버렸다. 부디 잘 해결되어 빠른 시일이내 내가 남한강 자전거도로를 한 번 밟아보기를(응?) 바랄 뿐이다.

 

capture_01.png

자전거 매니아들 사이에서 유명하다는 '하트 코스'. 나도 한 번 도전해 볼까?

자전거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서울의 '하트 코스'가 유명하다고 한다. 거리는 장장 66여 km 가까이 된다. 한강 자전거길로 시작해 안양천, 학의천, 양재천을 거닐다 다시 한강 자전거길로 진입하게 되는 코스이다.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나오고 들어오는 거리까지 합하면 약 88km 정도 나온다. 나는 이 코스를 언젠가는 기어코 도전해보리라 마음 먹고 며칠 전 부터 지도 검색과 코스 계획을 짜고 오늘에서야 집을 나섰다.

근데 하필이면 날씨가 해는 떠 있는데 안개가 짙어 경치구경하는데도 안타까웠을 뿐만 아니라 너무 습해 몸 곳곳에서 땀이 좀 나고 진득진득한 불쾌감이 방해를 했다. 그리고 코스 돌다가 실수로 코스에 넘 집중한 나머지 중간에 옆으로 빠져야 하는데 계속 직진하다가 골로 빠져 10여km 정도 더 탔다는 아픈 기억까지 있다. 합산하면 거의 한 100km 정도는 탄 듯 하다. 시간은 생각보다 오래걸려도 너무~ 오래걸린 것 같다. 중간중간에 너무 휴식을 많이한 듯 하다. 아직은 체력이 좀 부실한 것 같다 :( 하지만 확실히 코스 길이는 제법 되는 상당한 양이다 보니 다양한 경치와 다양한 도시들을 구경할 수 있어서 그 점은 좋았다 :)

 

우선 코스는 한강 자전거길 - 안양천 자전거길 - 학의천 자전거길 - 양재천 자전거길 - 탄천 자전거길 - 한강 자전거길로 순차적으로 순환하며 지도로 볼 때 시계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하고 집을 나섰다.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출발하여 우선 불광천 자전거길에 진입하여 그 길을 따라 한강 자전거길로 진입하였다.

그렇게 계속 열심히 페달을 밟으며 한참을 가다 보면 마포대교를 만날 수 있다. 열심히 경사로를 따라 올라가 마포대교와 만나면 진입하여 다리를 건너 여의도로 진입한다. 다리를 건너는 동안 언뜻 뉴스로 보았던 자살 예방 시설물과 인상적인 문구 등을 보게 되었다. 그렇게 다리 중반 부분에 들어서기 전, 난간 사이로 뜻 밖의 경관을 목격하였다.

 

20130307_111651.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새 들이 한데 모여 한강에 앉아 경관을 이루고 있다. 무슨 일인지 이렇게 한강에 수백마리 쯤 되 보이는 새들이 물 위로 모여있길레 이렇게 한 컷 찍어보았다. 저 멀리 서강대교도 보인다. 이런 관경을 뒤로하고 또 부지런히 달렸다. 코스가 얼마나 걸릴 지 모르기 때문에 가능한 한 서둘러야 하기 때문이다.

 

20130307_114146.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20130307_114254.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그렇게 마포대교를 건너 핸들을 꺽어 다시 한강 자전거길에 진입해 또 다시 열심히 페달질을 하다보면 이렇게 안양천 합류지점이라고 쓰여 있는 표지판을 볼 수 있다. 즉 여기서 저 내천이 보이는 쪽으로 꺽어들어가면 된다는 말이다.

저번에 친구랑 행주대교를 넘어 한강 자전거길을 통해 선유도에 가 본 적이 있었는데 그 때 얼핏 여기를 지난 기억이 난다. 그 때는 저 길이 '그냥 다른 방향으로 가는 샛길이나 서울 안(시내) 쪽으로 진입하는 짤막한 길이겠지'라고만 생각하고 시간과 체력에 쫓겨 여기를 지나쳤던 기억이 있다. 그런데 이렇게 다시 생각해보고 다시 보게되니 뭔가 색다르다.

이제 이 길로 진입하면 다시 한강 자전거길로 나오기 전 까지 꽤 긴 거리를 주행해야 하는 긴 여정이 될 것이다. 한강 자전거길은 여기서 헤어지고 이제 안양천 자전거길로 바퀴를 들여놓았다. 이렇게 한 번 들어가면 이제 한강 자전거길을 다시 보게 되려면 많은 시간이 지나서야 보게 될 것이다. 그렇게 한강 자전거길과 잠시이면서도 생각보다 꽤 긴 이별을 고하며 그렇게 안녕~!

 

20130307_114620.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안양천 자전거길에 진입하려고 방향을 꺽자 다른 쪽 방향에 같은 표지판을 볼 수 있었다. 그 옆에 안양천 자전거길임을 알리는 표지판도 볼 수 있다.

 

20130307_114647.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20130307_114938.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안양 자전거길 진입 직후 초반부 모습이다. 저 길은 어디까지 이어질지... 장거리라 기대 반, 걱정 반 부푼 가슴과 저질 체력(?)을 안고 출발!

 

20130307_120859.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자전거도로 진입 후 좀 달리고 잠시 숨을 고르면서 찍어보았다. 사실 계속 달려야 되는데 저질체력인지라 속도도 못내고 자주 쉬는게 흠인 것 같다. 시간이 많이 걸린 이유도 꾸준히 계속 달리면 괜찮을 듯 싶은데 중간중간 쉬다보니 시간이 많이 잡아먹혔던 듯 하다.

 

20130307_122645.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계속 달리면서 이렇게 '롯데광명물류센터'란 건물도 보고... 건물 안에 트럭이 즐비하다. 마음만 같으면 안에 들어가서 과자를 다 헤치우고 싶었지만 그 건물까지의 거리도 거리이고 그러지 못함을 알기에 아쉬움을 뒤로한 채(?) 계속 진행하기로 했다.

 

20130307_122725.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얼마 안가 자전거도로임을 알리는 표지판을 볼 수 있었다. 맨 위에 떡 하니 자리잡고 있는 '광명시'. 그렇다. 나는 이제 서울을 벗어나 엄연히 경기도 광명시의 땅을 밟고 있는 것이다. 교각 바로 밑에 자리잡고 있는 시계와 행정정보 알림판에도 '광명시'란 글자를 찾아볼 수 있다.

 

20130307_125023.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어서오십시오. 광명시. 여기는 경기도 광명시다. 어라 근데 아까전에도 광명이었는데 도로 위에 왜 이게 있는거지? 알고 보니 안양천을 경계로 서울과 경기도가 갈리는 것이었다. 저 안쪽으로 들어가 버리면 광명. 안양천을 건너 반대쪽으로 가면 서울 금천구의 땅을 밟는 것이었다. 이 도로는 안양천을 건너는 도로였고 서울 금천구에서 오는 방향의 도로라 이런 안내 표지판이 있던 것이었다. 하긴... 그렇지 않고서는 그쪽 역 이름이 괜히 '금천구청'일 리가 없을 것이다. 사진들을 뒤적이며 안양천 하나 건너 찍었을 뿐인데 서울에서 찍은 것으로 나와 의아해 하다가 행정구역이 나오는 지도와 저 사진과 도로가 나 있는 방향 등을 모두 종합해보고 이해하게 되었다.

어쩌다 발견해서 찍었는데 발견하게 된 것이 가다가 갑자기 자전거길 공사중이라고 끊겨서 어쩔 수 없이 올라와서 보니 이런 표지판이 있었다. 그렇게 반대편 자전거길을 이용하기 위해 다리를 건너게 되었다.

 

20130307_125034.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광명 시내 전경... 보다는 그냥 흔한 삼거리인 듯 싶다. 위에서 말했다 시피 지금 사진 상에서 뒤쪽 도로로 진입하면 안양천을 건너가는 다리로 진입하게 된다. 안양천을 건너는 다리 이름이 '시흥대교'였는데 확장공사를 한다 해서 도로 구조가 복잡했다. 그냥 단순히 다리의 높이를 좀 더 높이는 작업인 것 같다.

기존 다리 옆에 새로운 다리를 세우는 방식으로 건축 중인데 신기하게도 새로운 다리로 건너오다 갑자기 기존 다리를 부수다 말고 철골 구조물을 올려놓고 그 위에 아스팔트 포장을 해 놓고 그 기존다리 쪽으로 넘어와 다리를 나오는 방식이었다. 덕분에 다리를 건너는 동안 차들이 기존 다리와 새로운 다리를 왔다 갔다 하느라 위 아래로 요동쳤고 순간 지진나는거나 막 다리가 무너지는 건 아닌지 걱정하다가 구조를 보고 이해하고는 쿨 하게 무시하고(?) 그냥 건넜다.

 

20130307_125432.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내가 이 다리를 건너기 시작할 무렵 살수차가 난데없이 등장해서 자전거도로에 물을 뿌리기 시작했다. 방금 말한 다리 공사 때문에 이 쪽 도로로 공사차량이 들어가고 나오는 듯 한데 자칫했으면 달리다가 속도를 낮춰 엄청 천천히 달려야 했거나 혹은 흙탕물 테러 당할 뻔 했다. 조금이라도 빨리 와서 천만 다행이다. 그리고 바로 앞에는 끊긴 자전거도로가 보인다... 얼른 개선되어 편하게 오고 다닐 수 있으면... 그래도 덕분에 반대 쪽에서 각종 철도풍경도 카메라에 담을 수 있었으니... (응?)

 

20130307_130016.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어느새 갑자기 철도 쪽으로 빠져든 것 같긴 하지만 알게 뭐야. 여기는 금천구청역 주변으로 경부선 열차와 1호선 열차가 모두 다니기 때문에 빈번하게 각종 다양한 열차를 볼 수 있다. 아까 전 다리를 넘어와 찍은 사진이다. 바로 앞에 지하로 들어가는 부분이 있으며 광명역에서 KTX를 위로 올려보낼 때와 1호선 셔틀 전동차를 넣고 뺄 때 이 통로를 이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위성 지도로 보니 선 형이 그렇게 되어있는걸로 보아서 대충 그런 예감이 든다. 그리고 위성 지도를 보면서 광명역을 보았는데 완전 특이하고 신기한, 반지하(?) 구조로 되어있던데 나중에 한번 가보고 싶다.

국산 기술로 만들어진 KTX 2세대 모델 '산천'. 이름 그대로 기존 KTX는 1편성이 20량 짜리 거대한 덩치의 '상어'였다면 KTX 산천은 10량 짜리로 '산천'이란 이름에 걸 맞게 기존 KTX에 비해 아담한 몸집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전라/호남지역으로 보낼 때 다른 행선지의 KTX와 묶어 가다가 중간에 분리하여 따로 가도록 설계를 해 두었는데 이 놈의 체결부분에 문제가 생겨서 신뢰도가 떨어졌는지 잘 사용하진 않는다고 한다.

KTX 1세대 알스톰 사 수입 모델과 다르게 국내 자체제작 모델이라 각종 편의시설물에선 매우 우수한 편인데 아직 초기형 모델이라 탈도 많은 듯 싶다. 뉴스에서 자주 나오는 고장 건도 그렇고 승차감이 확실히 기존 KTX '상어'에 비해 떨어지고 최대시속 300km에서 진동이나 요동치는 것이 크게 느껴지는 것 또한 마찬가지다. 이번 430km급 고속차량 '해무'에서는 그래도 어느정도 나름의 노하우가 쌓였으니 조금이나마 더 나아지길 기대해 본다.

 

20130307_130100.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그 다음은 예전 전성기에 비하면 짧고 뭔가 허전한 무궁화호. 새마을호 보단 오래 건재하겠지만 그래봤자 그리 멀지 않은 미래에 사라질 녀석이다. 참 의문인게 동력형이 아닌 객차형으로 보더라도 무궁화호보다 나중에 나온 새마을호가 먼저 사라진다는 것이다. 희안하게 상태도 새마을호가 더 낡았다. 어쩌면 무궁화호는 부품이 다 떨어지기전에 보수하고 2세대, 3세대 등을 뽑고 그랬지만 새마을호는 그렇게 하지 못하고 먼저 가는 것일 수도.

느려도 안락하고, 시끌벅적하고, 재밌는게 무궁화호, 새마을호인데 사라진다니 아쉽다. 좌석(시트)도 그렇고 복도와 차량 너비도 그렇고 이제 점점 철도는 '여행'이 아닌 '이동수단'으로 인식되어지는 분위기다. 예전엔 식당차도 있던 새마을호가 언제부턴가 무궁화호와 함께 스낵바로 변해버렸고 KTX를 통해 빨리 갈 순 있지만 안락한 좌석과 분위기는 기대하기 어렵다. 빠른 것도 좋지만 가끔은 느리게 살아보는 것도 좋은데 요즘 세상이 그런지라 그렇게 변할 수 밖에 없는가 보다.

 

20130307_130232.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그 다음 호랑이도 제말하면 온다더니 새마을호다. 새마을호가 자기 친구 PP 동력차와 함께 웅장한 소리를 내며 달리지 않고 팬터그래프가 달린 전기기관차에 끌려 다니는게 새롭기도 하면서 씁쓸하다. 무궁화호보다 나중에 나온 녀석인데 무궁화호보다도 먼저 사라질 녀석이다. 몇 년 뒤면 이 사진을 통하지 않고선 볼 수 없을 열차일 것이다.

 

20130307_130348.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그 다음 서울메트로 1호선 열차 입장! 예전엔 1호선이 코레일(지상) 부분과 서울메트로(지하)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었다고 한다. 그 때 서울메트로 부분은 노선 색이 빨간색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열차 색이 빨간색인 열차가 있다고 한다. 자동으로 열차 생김새도 그렇고 열차가 오래되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4호선에서 절찬리에 운행 중인 열차와 비슷하거나 동일한 모델이기도 하다. 그래도 외관이 깨끗하고 잘 굴러다니는 걸 보니 아직은 건재함을 알 수 있다.

 

20130307_130420.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이번엔 '동글이'라고 불리우는 열차가 지나가고 있다. 마찬가지로 1호선. 멀리서 잡아보니 색다르다.

 

20130307_131233.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아... 이러고 있을 때가 아니지. 떠나가는 열차 뒷 모습을 보며 작별을 고한 뒤, 얼른 다른 열차가 또 오기전에 출발했다. 서둘러 밟으니 이렇게 금천구가 안녕히 가길 빈다는 표지판이 나온다. 역시 안양천을 건너가서 그런지 손 흔들어주는 행정구역이 서울의 금천구로 바뀌어져 있었다. 그렇게 계속 직진하였다.

사실 이번 코스 짜면서 경로 주변 패스트푸드점을 검색해 보다가 안양역 주변에 무언가 많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적어도 2시 전 까지 그 곳에 도착해서 맥도날드 런치타임 때 햄버거 라지세트를 하나 사 먹고 여유롭게 조금 쉬다가 다시 출발하기로 짜 놓았다. 조금이라도 늦으면 나의 행복이 날라가 버린다. 얼릉 가야한다. -_-;;

 

20130307_140500.jpg EXIF Viewer사진 크기3264x1968

그렇게 가다보니 1시 59분에 극적으로 골인! 내가 주문하고 한 숨 돌리니 메뉴판이 휘리리릭 돌아가며 런치할인 메뉴판에서 일반적인 메뉴판으로 바뀌었다. 다행이다. 점심은 이렇게 더블불고기버거 라지세트를 시켜 먹었다. 혹여 배고프신 분께서 이 글을 보셨다면 죄송하다는 말씀 드리며... ( _ _ ) 꾸벅;; 이렇게 점심을 먹고 배를 채우며 좀 쉬었다.

다음 이야기에서 계속...

 

다음 글: [2013년 03월 07일] 자전거 타고 통 크게 동네 돌아보기 - 2편